전 세계가 신규 발전소와 송전망을 확충하려다 보니 골치가 아픈 상황이다.
미국에서 수요처가 인근 발전소와 직접 전력 판매/구매 계약을 맺을 경우
송전망 사용 비용을 안 내도 되느냐를 두고 논란이 있는 모양이다.
https://www.electime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39556
美서 “송전망 안 쓰는데 왜 송전망 비용 내나”…한국은 준비됐나 - 전기신문
미국에서 송전망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력을 공급받는 사업자에 대한 송전망 비용 문제가 제기됐다. 분산에너지와 직접전력구매계약(PPA) 등을 고심하는 한국도 전기요금 구성에 대해 세심한 검
www.electimes.com
컨셉으로 보면 송전망을 크게 사용하지 않으니 송전망 투자비/운영비를 부담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인 듯 하다.
그렇게 되면 수요가 입장에서는 전력 구매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유인이 생기는 셈이다.
반면에 송전망을 유지 운용하는 입장에서는, 해당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기 중 장거리 송전량이 적다고 하더라도
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망의 특성상 해당 수요가에게 안정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서로 연결된 송전망 안정화 역할이 중요하고
따라서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듯 하다.
전기는 특이하게 생산-운송-사용량이 모두 일치해야 한다.
사용량 대비 생산량이 적어도 정전이 되지만, 사용량보다 생산량이 많아도 정전이 생긴다.
전력망 운영자는 정전이 발생하거나, 전압/주파수 등 전력 품질에 큰 변동이 생기지 않도록 예비전력과 수요 조절 등 여러 조정 역할을 한다.
그런 면에서 해당 발전소와 수요가 간에만 직접 연결된 구조가 아니라면 송전망 비용을 아예 안 내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.
다만, 한국도 분산형 전원과 지역별 전기비 차등제도를 도입하려면 결국 송전망 비용을 누가 더 부담하느냐로
전기비 차등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싶다. 타국의 사례에서 많이 배울 수 있을 듯 하다.
'Energy News Archiv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4/7/4] 삼성SDI, 미국에 1조원 ESS 공급 추진 (0) | 2024.07.07 |
---|---|
[24/7/4] BESS, 그리드 안정화 & 전기차 캐즘의 대안이 될까 (0) | 2024.07.07 |
[24/7/3] “AI發 추가 전력수요 최대 31%...계통보강에 100조” (0) | 2024.07.05 |
[24/7/3] AI 붐으로 빅테크의 탄소배출 증가 (0) | 2024.07.05 |
[24/6/26] 베트남 신규 석탄 발전소 추진 (0) | 2024.06.30 |
댓글